안녕하세요 올해로 24살인 사회초년생 여성 (아직은 취준생) 입니다.이번 민생회복쿠폰을 통해, 카카오뱅크나 토스 같은 인터넷 뱅크가 아닌 제1금융권을 쓰라는 조언들을 보게 되어 제가 그동안 너무 무지했나 싶습니다.현재까지 쭉 카카오뱅크, 네이버페이 결제만 해왔습니다.현재 수입은 없으며, 취업 전까지 아버지 용돈을 받고 있습니다.부끄럽지만 기초를 잡고자 하여 도움 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1. 신한은행, 우리은행 이 두가지 제1금융권 입출금 통장은 개설했습니다. 주거래은행을 하나로 잡아서 한가지 은행에서 입출금, 예적금, 체크카드 등의 경제활동을 몽땅 하는 게 좋은 건가요?2. 그 흔하다는 주택청약 적금, 또는 일반적금 그 아무것도 들어둔 것이 없습니다. 카카오뱅크 세이프박스에 넣어두면 이자가 붙길래 편리하여 쭉 사용해 왔습니다. 기본적으로 "적금 -> 만기 시 예금으로 묶기"에 대해 대강 들은 기억이 있습니다. 이것도 1번에서 정한 주거래은행에서만 진행하는 게 맞을까요? 생활비를 제외한 남은 금액을 주택청약, 적금으로 하는 게 맞는 건지 싶습니다. 실은 적금과 예금의 개념도 잘은 모르겠지만, 달마다 일정금액을 입금하고 이자를 받는 게 맞을까요?3. 저는 주로 온라인 결제 (올리브영, 무신사, 에이블리, 카페 등)에 돈을 쓰는 편입니다. 그래서 주로 카카오뱅크 계좌를 연동한 네이버페이를 이용했는데, 제1금융권 체크카드를 등록하여 쓰는 것이 더욱 혜택이 좋다면 그걸 쓰는 게 맞을까요? 4. 비상금, 연금저축, 주택청약 적금, ISA계좌, ETF의 중요성에 대해 대충 보게 되었습니다. 이 모든 건 직장인이 된 후에 시작할 수 있는 걸까요? 수입이 현재 없는 저로썬 적금->예금, 주택청약 적금을 하면 되는 게 맞을까요?마지막으로 부모님으로부터 완전한 독립은 언제가 적당한지, 또 전체적으로 아직 경제관념이 너무 없는 제게 조언해 주실 게 있다면 무엇이든 감사히 듣겠습니다.
처음 사회에 발을 딛는 순간, 가장 설레면서도 동시에 막막하게 다가오는 게 바로 돈 관리일 거예요. 월급은 들어오는데 어디서부터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감이 안 잡히는 게 당연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사회초년생이 꼭 알아야 할 기초 재테크 방법을 차근차근 정리해드릴게요.
월급을 받으면 먼저 저축을 하고, 남는 돈으로 생활하는 습관이 가장 중요합니다.
추천하는 비율은 저축 50% 생활비 30% 투자 20% 정도로 시작하는 것이 좋아요. 물론 개인 상황에 맞게 조금씩 조정하면 됩니다.
예상치 못한 병원비나 갑작스러운 지출에 대비해서 최소 3~6개월치 생활비는 따로 비상금 계좌에 두는 게 안전합니다.
이 계좌는 절대 건드리지 않는다는 원칙을 세우세요.
개인연금, IRP: 세액공제 혜택까지 챙길 수 있는 장기 상품
처음부터 주식에 올인하는 것보다 안정적인 예적금 + 소액 투자로 경험을 쌓는 게 현명합니다.
사회초년생 때부터 신용점수 관리는 필수입니다.
통신요금이나 카드대금을 연체 없이 납부하는 것만으로도 점수가 꾸준히 올라갑니다. 신용점수는 나중에 대출 이율이나 집 전세 계약 시 큰 영향을 주니 꼭 신경 써야 합니다.
돈을 모으는 것도 중요하지만, 결국 가장 큰 자산은 본인의 능력이에요.
자격증, 외국어, IT 스킬 같은 자기계발에 투자하면 장기적으로 소득을 늘릴 수 있는 기반이 됩니다.
정리하자면 사회초년생 재테크의 핵심은 습관화된 저축, 기본적인 금융 이해, 그리고 자신에 대한 투자입니다. 너무 큰 욕심보다는 작게 시작해서 점차 확장해 나가는 게 가장 안전하고 현명한 길이에요.
더욱 자세한 내용은 아래 추가로 정리 해났어요.

광고 부업 vs 콘텐츠 부업 vs 쇼핑몰 부업, 어디가 좋을까?
부업을 선택할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갈림길이 있어요. 광고 부업, 콘텐츠 부업, 쇼핑몰 부업 중 무엇이 자신의 강점과 시간, 예산에 맞는지 파악하는 일이에요. 지금은 2025년이다. 플랫폼은 더 세분화됐고, 수익 구조도 다양해졌기 때문에 선택의 난이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