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통사 문화전파 답이 없는거 같은데요,,혹시 해설도 해주실수있나요?ㅇ
통사 문화전파 답이 없는거 같은데요,,혹시 해설도 해주실수있나요?ㅇ
답이 없는거 같은데요,,혹시 해설도 해주실수있나요?ㅇ
i
이런식으로 문화 전파가 이해가 되나요
문화전파(culture diffusion) 란
어떤 문화권 또는 민족 속에서 구성된 문화요소의 일부가 다른 문화권 또는 민족의 문화 속에 받아들여진 것을 가리킨다. 문화가 발전하는 형태는 각 문화유형이 한 단계에서 다음 단계로 각각 옮아가는 것이 아니라, 서서히 교차되고 상호작용하면서 변해가는 것이다.
문화전파의 경로에는 직접전파, 간접전파, 자극전파가 있다. 직접전파는 두 문화체계 사이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한 전파로, 교역으로 새 물질과 새로운 지식을 전하거나 부족 간의 통혼으로 풍속이나 제도를 수용하는 것, 부족 간의 의례적인 방문으로 노래와 춤 등을 전파하는 것 등이 그 예가 된다.
직접전파의 또 다른 예로 정복을 들 수 있다. 정복은 한 민족이나 국가가 피정복민에게 문화를 강요하여 피정복민의 문화에 많은 변화를 일으키는 것이다. 인도네시아가 힌두교를 받아들였고 그 뒤에 이슬람교를 받아들인 것, 에스파냐에 정복당한 멕시코 인디언들이 가톨릭을 받아들인 것, 일제 강점기의 한국이 일본어와 일본 풍습을 받아들인 것 등이 그러한 경우다.
간접전파는 정보․사상․관념 등이 대중매체를 비롯하여 선교사․무역중개인․교육자․여행자 등에 의해서 전파되는 것을 말한다. 페니키아 무역인들이 셈족으로부터 알파벳을 그리스에 전한 것, 십자군이 서구문화를 모슬렘 사회에, 아랍문화를 서구에 전한 것, 현대의 선교사가 서구문화를 비서구문화권에 전한 것 등이 이 경우이다.
자극전파는 문화요소의 전파가 발명을 자극한 것으로, 문화의 구체적인 내용이 전해지지 않고 일반적인 개념만 전파되어 발명을 자극하는 것이다. 남의 나라 문자를 빌어서 자기 나라의 말을 표기하는 차자법(借字法)을 예로 들 수 있다. 훈민정음 이전에 한문을 빌려 우리말을 표기한 이두도 이에 속한다.
문화융합: 두 개의 문화가 합쳐져 새로운 제 3의 문화를 형성하는 현상
문화동화: 두 개의 문화가 만날때 작은 문화가 큰 문화 속으로 들어가 버리는 현상 을 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