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진로랑 관련된 역사 인물을 찾아야 하는데 제 진로가 회계사거등요.. 최대한 비슷한 인물 찾아주세요 개화기 인물이어야 해요!!!
제 진로가 회계사거등요.. 최대한 비슷한 인물 찾아주세요 개화기 인물이어야 해요!!!
추천 인물 : 어윤중(魚允中, 1848 ~ 1896) - 조선 최초의 ‘재무 장관’형 개혁가
구분
내용
주요 직책
탁지부대신(度支部大臣) ― 오늘날 기획재정부 장관 격
대표 업적
① 재정 일원화 : 왕실·관서·지방으로 흩어져 있던 수입·지출을 ‘탁지부’로 통합
② 〈회계법〉(1895) 제정 : 근대적 예산-결산·출납·결산 보고 체계 도입 → 국가 회계 기준 첫 확립한국사데이터베이스KILF 한국지방세연구원
③ 잡세(잡다한 세금)·궁방세 폐지 : 세목 간소화ㆍ조세법정주의 구현 → 농민 부담 경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왜 ‘회계사’와 닮았나?
• 나라 살림을 투명하게 “장부화”하고, 예산-결산을 법으로 규정
• 세입-세출을 숫자로 관리하고 결과를 보고-감사하게 만든 ‘공공 회계 시스템 설계자’
활동 시기
1894 ~ 1896 (제1·2차 갑오개혁 핵심 인물)
한 줄 의미
“조선 재정을 한눈에 보이는 ‘재무제표’로 만든 개화기형 CFO”
회계 기본 정신 = 투명성·책임성
→ 어윤중은 왕실·정부 재정을 분리하고 ‘적자-흑자’를 구분해 보고 의무를 만들었어요.
제도·법령을 숫자로 설계
→ 오늘날 기업 회계기준서(K-IFRS)처럼 〈회계법〉을 제정해 예산·결산 절차를 법제화했습니다.
실무 + 정책 결합형 커리어
→ 단순 장부 정리가 아니라 세목 폐지, 금납제(현금 세금) 도입 등 세무·세법 개혁까지 주도했습니다.
더 알아볼 자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어윤중〉 항목 – 생애·재정개혁 개요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국사편찬위원회 PDF 〈1894~1895년 개화파 정권의 재정제도 개혁〉 – 회계법·예산제도 상세
한국지방세연구원 보고서 – 1895년 회계법 조문·운용 방식 해설
도움 되셨다면 ‘채택’ 부탁드립니다